-
[산업일보]중국에 이어 동남아 태양광 제품에까지 관세 부과한 미국, 인도가 웃는다
미국이 최근 중국의 태양광 제품에 대한 관세 조치를 강화한데 이어 동남아 지역에서 수출되는 제품에까지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화투자증권이 최근 발행한 ‘미국, 동남아산 태양광 제품에 관세 부과’ 보고서에 따르면, 10월 1일 미국 상무부는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 등 동남아 4개국에서 수입하는 태양광 셀/모듈에 예비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발표된 국가별 관세율은 캄보디아 8.25%, 말레이시아 9.13%, 태국 23.06%, 베트남 2.85%이며 90일 전부터 수입된 제품들에까지 소급 적용될 예정이다. 다만, 이번 발표된 관세율은 그리 높지 않은데, 중국의 보조금 규모에 따라 2025년 2월 최종 관세율 발표
에너지김진성 기자2024.10.13 -
[산업일보]중국산 전기차에 관세 부과한 EU, K-배터리에 기회?
최근 EU가 중국산 전기차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결정을 내림에 따라 중국산 전기차는 EU현지에서 최대 35.3%의 추가 관세를 부과받게 됐다. 이에 이러한 현상이 한국의 배터리 산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최근 유진투자증권이 발표한 ‘EU 중국산 전기차 고관세 부과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EU 는 중국산 전기차에 대해 추가 관세를 전체 투표를 통해 확정했다. 기존의 관세 10%에 추가해서 업체별로 7.8~35.3%의 관세를 부가받게 되는 것이다. 일단 EU는 이 결정 이후에도 중국과는 해결 방안에 대해 지속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5년간 부과되는 관세는 현재 EU 국가들의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우려의 강도
전기김진성 기자2024.10.12 -
[산업일보]RWE, 토탈에너지스와 4GW 해상 풍력 프로젝트 공동 개발 추진
글로벌 에너지 발전업체 RWE가 토탈에너지스(TotalEnergies)와 협력해 독일 해안에서 총 4GW 규모의 대형 해상 풍력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개발하기로 합의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RWE는 해당 프로젝트의 지분 50%를 토탈에너지스에 양도할 예정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독일 보르쿰섬에서 북서쪽으로 약 110~115㎞ 떨어진 RWE의 해상 풍력 발전 부지 N-9.1, N-9.2에서 진행되며, 각각 2천 MW 용량의 해상 풍력 발전 단지를 조성하는 내용으로 구성돼 있다. RWE의 최고경영자(CEO) 스벤 우테르뮐렌(Sven Utermöhlen)은 보도자료에서 "토탈에너지스와 함께 이번 프로젝트를 추진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토탈에너지스는 오렌지윈드(
에너지김인환 기자2024.10.11 -
[산업일보]‘BATTERY KOREA 2024’ 개막, 이차전지 캐즘 속 기회 모색…
이차전지 산업이 전기차 시장의 침체로 캐즘(Chasm)을 겪고 있는 가운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세계 각국과 기업들이 치열한 전략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관련 업계는 공급망 다변화, 소재 개발, 자원순환 시스템 구축 등 시장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에너지저장장치(ESS)와 같은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11일 서울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 개최된 ‘배터리코이(BATTERY KOREA 2024)’는 국내외 배터리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산업 트렌드와 미래 전략을 공유하는 장이 됐다. 이 행사에는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울산테크노파크, 대구기계부품연구원 등 국내 주요 연구기관 및 기업들이 참여해 총 23개의 전문 강연
에너지김성수 기자2024.10.11 -
[산업일보][인사] (주)투윈스컴
▲ 감사(이사급) 오왕수
전기김성수 기자2024.10.11 -
[산업일보][벤틀리시스템즈 YII2024] 새로운 탄소 분석 기능 발표
벤틀리 시스템즈(Bentley Systems, Inc.)는 9일(현지시간) 캐나다 벤쿠버에 위치한 더글라스 호텔에서 열린 '2024 Year in Infrastructure and Going Digital Awards' 행사에서 'Technology and Product Keynote: Making the Right Connections' 키노트 세션을 통해 iTwin Experience 플랫폼의 새로운 탄소 분석 기능을 발표했다. 벤틀리 시스템즈의 최고 지속가능성(SDG) 책임자(sustainability chief officer)인 크리스 브래드쇼(Chris Bradshaw)는 "탄소 평가 보고서는 글로벌 인프라 프로젝트에서 표준 절차가 돼야 하지만, 아직도
에너지김우겸 기자2024.10.10 -
[산업일보]연료전지 발전소 건립 본격화… 894억 원 규모 금융 약정 체결
안산시가 첫 연료전지 발전소 건립을 위한 금융 약정을 체결하고, 본격적인 사업 추진에 나선다. 안산시(시장 이민근)는 8일 시청 제1회의실에서 ‘안산단원 1단계 연료전지 발전사업’의 자금 조달을 위해 출자자 및 금융기관 등 6개 기관과 894억 원 규모의 금융 약정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조성되는 연료전지 발전소는 안산도시개발 부지(단원구 첨단로 670)에 자리 잡으며, 에너지 자립 도시 조성을 목표로 추진되는 사업이다. 총사업비는 약 1천50억 원으로 예상되며, 이달 내 착공해 약 18개월간 공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에너지 자립 도시로 도약… 연료전지 발전소 본격 착공 이날 약정 체결식에는 이민근 안
에너지김인환 기자2024.10.08 -
[산업일보]컨테이너선 수주 독식한 중국, HD한국조선해양·삼성중공업·한화오션 ‘예의주시’
상반기까지만 하더라도 꺾일 줄 모르는 기세로 순항을 이어갔던 HD한국조선해양‧삼성중공업‧한화오션 등 국내 조선사들이 중국발(發) 독식 이슈가 발생하면서 신경을 곤두세워야 하는 국면으로 바뀌어가고 있다. iM증권의 ‘중국이 독식한 컨테이너선 수주, 한국 조선소와 엔진업체의 갈리는 명암’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이 올해 발주된 7k이상 컨테이너선 191척 중 177척(92.7%)를 수주한 것으로 확인됐다. 홍해 사태로 급등한 운임 덕택에 증가한 컨테이너선 발주의 수혜를 한국도 받을 것으로 당초 기대했으나 이는 기대로 그치고 있는 상황이다. 보고서의 내용에 의하면, 이제 가시권에 남아 있는 대형 컨테이너선사의 발주예정 프로젝트 중 한국이 확실한 우위를 기
플랜트김진성 기자2024.10.08 -
[산업일보]치솟는 전력수요, 미국의 대안은 원자력과 천연가스
AI의 확산으로 인해 전력 수요가 치솟으면서 에너지원 발굴에 대한 부담이 더욱 커지고 있다. 탄소중립과 친환경을 이유로 재생에너지 활용에 대한 목소리는 커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전력 수요에 대해 대응하기는 부족하다는 것이 업계의 공통된 의견이다. iM증권이 최근 발표한 ‘미국 유틸리티 업체들이 전력수요 증가에 대응하는 방법’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미국에서는 이러한 전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원자력과 천연가스의 활성화에 나서고 있다. 최근 Microsoft(마이크로소프트)는 데이터센터에 필요한 전력을 미국 Constellation Energy 로부터 향후 20년간 구매하는 PPA 계약을 체결했다. Constellation은 1979년 스리마일섬 사고
에너지김진성 기자2024.10.05 -
[산업일보]그로와트, RE+ 2024서 태양광 에너지 저장 솔루션 선보여
그로와트(Growatt)는 미국 애너하임에서 열린 북미 청정에너지 행사 ‘RE+ 2024’에 참가해 자사의 최신 태양광 에너지 저장 솔루션을 공개했다. 이번 전시회에서 그로와트는 ‘MIN 3000-11400TL-XH2-US’ 인버터와 ‘SYN 200E-23-US’ 백업 장치, ‘APX HV US’ 배터리를 통합한 전체 가정용 백업 전력 시스템을 선보였다. 이 시스템은 안정적이고 확장 가능한 솔루션을 제공하며, MPPT당 18A의 PV 입력 전류를 지원한다. 주거용 및 상업용 에너지 저장 솔루션 강화 그로와트는 주거용 에너지 저장 솔루션으로 ‘SPH 10000TL-HU-US’ 인버터와 ‘ALP LV US’ 배터리를 결합한 제품을 새롭게 출
에너지김성수 기자2024.10.04
최신뉴스
- 재생에너지, 지역에서 생산·소비 함께 이뤄져야 활성화 기대
- 우진플라임, DL-G5 Ver.2 출시…사출 성능·대형 금형 대응력 향상
- 트리나솔라, 2025년 1분기 BNEF Tier 1 PV 모듈 제조업체로 재선정
- [AW 2025] 아비바(AVEVA), ESG·에너지 절감·통합 시스템 혁신에 앞장서
- 지속가능한 미래 건설 '다빈이앤씨', 친환경 기술·스마트 건설 솔루션 확대
- 탄소소재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 ‘KIMES 2025’서 탄소 소재 의료기기 소개
- CTR에너지(CTR Energy), 이노일렉트릭㈜과 신재생에너지 협력 강화 업무협약 체결
- 한국탄소산업진흥원, 이산화탄소 활용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생산 기술 확보
- [JEC WORLD 2025] 한국탄소나노산업협회, 글로벌 협력 강화